맨위로가기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는 독일 니더작센주 브라운슈바이크에 위치한 공립 대학으로, 1745년 카를 1세에 의해 '카롤리눔 콜레기움'으로 설립되었다. 19세기에 공과대학으로 발전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었다. 현재 6개의 학부와 여러 연구소를 운영하며, 미래 도시, 계측학, 모빌리티, 건강 공학 분야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한다. TU9 연합의 회원이며, QS, 타임스, ARWU 등 세계 대학 평가에서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다. 또한 iBMB 연구소는 내화피복 관련 시험 및 인증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클라우스 폰 클리칭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대학교 -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슈투트가르트 대학교는 1829년 설립되어 196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위치하며 공학 및 자연과학 분야에 강점을 보이며 산학 협력에도 적극적인 독일 대학교이다.
  • 독일의 대학교 - 샤리테
    샤리테는 1710년 프리드리히 1세가 베를린에 설립한 독일의 대표적인 대학 병원으로, 훔볼트 대학교와 자유 베를린 대학교 의과대학이 통합 운영되며 4개의 캠퍼스와 100개 이상의 클리닉 및 연구소를 갖춘, 독일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를 다수 배출한 세계적인 의학 연구 및 교육 기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의 휘장
휘장
원어 이름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모토Nec aspera terrent
모토 (언어)la
모토 (한국어 번역)그들은 거친 것들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설립일1745년
설립자카를 1세,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학교 종류공립
예산€ 3억 9,300만
소재지브라운슈바이크
국가독일
니더작센주
교직원 수교수 242명, 직원 2,060명
전체 직원 수3,795명
학생 수19,981명
박사 과정 학생 수2,223명
이전 명칭콜레기움 카롤리눔
학술 제휴TU9, CESAER, PEGASUS
웹사이트tu-braunschweig.de
위치 정보
기타

2. 역사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국의 카를 1세는 중상주의계몽주의에 기반한 정책을 펼치면서, 산업 육성을 위해 상류 계층이 새로운 시대의 학문, 지식, 과학,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에 1745년, 자신의 근거지인 브라운슈바이크에 새로운 학교인 '''카롤리눔 콜레기움'''(Collegium Carolinumde)을 설립했다. 학교 이름 "카롤리눔"은 카를 1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카를 1세는 궁정 고문 신학자 예루살렘에게 교수진 선발을 맡겼다. 예루살렘은 계몽 사상가이기도 했으며, 독일 여러 지역에서 신진 젊은 문인, 학자들을 모았다. 설립 초기에는 인문 과학, 미술, 수학, 과학 강의가 이루어졌으며,[15] 귀족 자제 48명이 학생으로 재학했다. 대학의 모토는 "bon sens und guten Geschmack(분별과 良識)"이다.

19세기 초, 나폴레옹의 침공으로 브라운슈바이크는 프랑스에 점령되었다. 당시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1808년부터 콜레기움을 군사학교로 개편하여 프랑스에 대한 저항 운동을 벌였다. 이는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으로서 1813년 독립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프리드리히의 뒤를 이어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이 된 빌헬름은 공과대학을 중시하여 카롤리눔 콜레기움에 공과대학 관련 강의를 늘렸다. 1862년에는 "'''왕립 기술학교'''" (Herzogliche Polytechnische Schule|헤어초글리헤 폴리테히니셰 슐레de)[16]로 개칭하여 공과대학 관련 8개 학과를 설치하였다. 1877년에는 "'''왕립 카를-빌헬미나 공과대학교'''" (Herzogliche Technische Hochschule Carolo-Wilhelmina|헤어초글리헤 테히니셰 호흐슐레 카를로-빌헬미나de)로 개칭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대학 건물의 7할이 파괴되어 학교는 존폐의 위기에 놓였다. 주 정부의 지원으로 건물이 재건되고 대학이 재개되었다. 1968년에 현재의 '''브라운슈바이크 카를-빌헬미나 공과대학교'''(Technische Universität Carolo-Wilhelmina zu Braunschweig|테히니셰 우니베르지테트 카를로 빌헬미나 추 브라운슈바이크de)로 개칭되었다.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는 그 약칭이다.

2003년, 독일 국내 공과대학 9개교가 모여 TU9이라는 연합 조직을 만들었는데,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도 그 중 한 곳으로 가입되어 있다.

2. 1. 설립 배경 (17세기 ~ 18세기)

독일의 각 방국에서는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대학과 학교 설립이 잇따랐다. 여기에는 정치적인 이유가 있었다. 과거 독일 지식인들은 신성 로마 제국 영토 내에 설립된 대학을 최고 학부(學府)로 여겼다. 그러나 루터종교 개혁으로 인한 슈말칼덴 전쟁과 삼십년 전쟁의 결과, 신성 로마 제국에 의한 “통일”은 사실상 붕괴되었다. 각 방국은 가톨릭, 프로테스탄트, 나아가 루터파와 칼뱅파, 그리고 그 분파로 분열되었고, 각 방국의 군주들은 자국의 종파와 정책에 부합하는 사상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를 자국 영토 내에 필요로 하게 된 것이다. 또한 다른 영토의 대학에 자녀를 유학 보내는 비용 부담이 컸던 것도 이유로 들 수 있다.

신성 로마 제국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적인 학교는 고대부터 내려온 전통적인 교육, 즉 그리스어·라틴어와 같은 고전어와 신학, 웅변학을 중시했다. 그러나 이러한 학교는 르네상스와 그 이후 새로운 학문과 과학의 급속한 발전에 뒤처지게 되었다. 또한, 과거에는 고등 교육을 받는 것은 상류 계급의 자녀들로만 국한되었지만, 시민 계급의 성장에 따라 농업과 상공업의 부유층에서도 새로운 시대의 수학과 지리, 기술, 외국어를 습득하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경우에 따라서는 고전적인 학문만을 익힌 귀족보다 서민의 지식이 더 유용해지고 있었다.

북독일의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국에서는 수도 브라운슈바이크에서 약 40km 떨어진 헬름슈테트에 1576년 설립된 Universität Helmstedt|헬름슈테트 대학교de가 있었다. 그 주변 국가들에서는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 대학교(1665년 설립), 할레 대학교(1694년 설립), 괴팅겐 대학교(1737년 설립)와 같은 새로운 대학들이 등장했다.

2. 2. 카롤리눔 콜레기움 설립 (1745년)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국의 카를 1세는 중상주의계몽주의에 기반한 정책을 펼치면서, 산업 육성을 위해 상류 계층이 새로운 시대의 학문, 지식, 과학,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자신의 근거지인 브라운슈바이크에 새로운 학교 (콜레기움( Collegiumde))를 설립하기로 했다. 이는 영국의 "칼리지"를 본뜬 것으로, 중등 교육을 담당하는 김나지움( Gymnasiumde)과 고등 교육을 담당하는 우니베르지타트(Universitätde)의 중간에 위치했다. 즉, 전문적인 연구에 평생을 바칠 학자를 목표로 한다면 우니베르지타트가 그 역할을 담당하고, 콜레기움에서는 졸업 후 실제 사회에서 활동하거나 여러 곳의 김나지움에서 교편을 잡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했다.

카를 1세는 궁정 고문 신학자 예루살렘에게 교수진 선발을 맡겼다. 예루살렘은 신학자이면서 계몽 사상가이기도 했으며, 독일 여러 지역에서 신진 젊은 문인, 학자들을 모았다. 설립 초기에는 인문 과학, 미술, 수학, 과학 강의가 이루어졌으며,[15] 귀족 자제 48명이 학생으로 재학했다. 대학의 모토는 "bon sens und guten Geschmack(분별과 良識)"이다.

이렇게 1745년에 '''카롤리눔 콜레기움'''(Collegium Carolinumde)이 설립되었다. 학교 이름 "카롤리눔"은 카를 1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창립 초기 교수진에는 브레멘 기여파 문인 게르트너와 에베르트 외에도 극작가로 유명한 레싱, 에셴부르크 등의 문학가가 있다. 그들에 의해 카롤리눔 콜레기움은 18세기 후반 독일 계몽주의의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2. 3. 공과대학으로의 발전 (19세기)

19세기 초, 나폴레옹의 침공으로 브라운슈바이크는 프랑스에 점령되었다. 당시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1808년부터 콜레기움을 군사학교로 개편하여 프랑스에 대한 저항 운동을 벌였다. 이는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으로서 1813년 독립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프리드리히의 뒤를 이어 브라운슈바이크 공작이 된 빌헬름은 공과대학을 중시하여 카롤리눔 콜레기움에 공과대학 관련 강의를 늘렸다. 1835년에는 학교를 인문학부, 공과학부, 경제학부 3개 부서로 나누었지만, 1862년에는 인문학부와 경제학부를 폐지하고 "'''왕립 기술학교'''" (Herzogliche Polytechnische Schule|헤어초글리헤 폴리테히니셰 슐레de)[16]로 개칭하여 공과대학 관련 8개 학과를 설치하였다.

1877년에는 신학사가 완공되어 이전하고 "'''왕립 카를-빌헬미나 공과대학교'''" (Herzogliche Technische Hochschule Carolo-Wilhelmina|헤어초글리헤 테히니셰 호흐슐레 카를로-빌헬미나de)로 개칭하였다. 당시 학생 수는 211명이었다.

2. 4. 20세기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대학 건물의 7할이 파괴되어 학교는 존폐의 위기에 놓였다. 주 정부의 지원으로 건물이 재건되고 대학이 재개되었다. 1968년에 현재의 '''브라운슈바이크 카를-빌헬미나 공과대학교'''(Technische Universität Carolo-Wilhelmina zu Braunschweig|테히니셰 우니베르지테트 카를로 빌헬미나 추 브라운슈바이크de)로 개칭되었다.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는 그 약칭이다.

2003년, 독일 국내 공과대학 9개교가 모여 TU9이라는 연합 조직을 만들었는데,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도 그 중 한 곳으로 가입되어 있다.

3. 명칭

정식 명칭은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de이다. 대학 측에서는 영어로 번역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명칭에 있는 형용사 'technische'(영어: technical)는 과학 및 공학에 중점을 둔다는 것을 암시하지만,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의미에서 여전히 대학교이다. 6개의 학부로 나뉘어 있으며, 각 학부는 다양한 학위 과정과 전문 분야를 제공한다.

4. 학부 구성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는 6개의 학부를 가지고 있다.[9] 일부 학부는 여러 학과로 더 나뉘어져 있으며, 모든 학부는 또한 수많은 연구소로 나뉘어져 있다.

학부학과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학부
생명과학부
건축, 토목 및 환경과학부
기계공학부
전기공학, 정보기술, 물리학부
인문 및 교육과학부


5. 연구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는 미래 도시, 계측학, 모빌리티, 건강 공학의 네 가지 주요 분야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7] 대학 연구원들은 브라운슈바이크의 다른 연구 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7]

5. 1. 주요 연구 분야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는 미래 도시, 계측학, 모빌리티, 건강 공학의 네 가지 주요 분야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 대학 연구원들은 브라운슈바이크의 다른 연구 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7]

  • 미래 도시: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과학자들은 지능형 미래 도시를 위한 개념을 개발하고 있다.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이며, 건강하고, 사회적인, 녹색 스마트 도시를 위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목표이다.
  • 계측학: 나노미터급 재료와 부품의 측정을 위해 나노측정학의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독일 연방 물리 기술 연구소와 함께 신흥 나노측정학 및 분석 연구소(LENA)는 측정 가능한 한계를 연구하고 있다.
  • 모빌리티: 원활한 다중 모드 이동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이 연구는 자동차, 항공우주, 철도 기술 분야를 통합한다. 지능형 및 상호 연결된 이동성,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저배출 차량, 지속 가능한 생산이 중요한 주제이다. 교통 관리, 물류, 사회적 영향도 고려된다. 전 세계 과학자들과 함께 교통 사고 수 감소를 목표로 한다. 연료 소비 및 소음 감소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재료와 표면, 차세대 에너지원을 개발하고 있다. 학제 간 연구는 항공우주 연구 센터 니더작센(NFL)과 자동차 연구 센터 니더작센(NFF)에서 통합된다.
  • 건강 공학: 브라운슈바이크 통합 시스템 생물학 센터(BRICS)는 시스템 생물학에 자연과학, 공학, 정보기술을 결합한다. 헬름홀츠 감염 연구 센터라이프니츠 DSMZ 연구소(독일 미생물 및 세포 배양체 컬렉션)와 함께 감염성 미생물에 대한 전략을 개발한다. 여기에는 미생물로 구성된 천연 물질도 포함된다. 이러한 약제의 제조 및 처리가 제약 공학 센터(PVZ)의 주제이다.

5. 2. 주요 연구 센터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는 미래 도시, 계측학, 모빌리티, 건강 공학의 네 가지 주요 분야에 연구를 집중하고 있으며, 대학 연구원들은 브라운슈바이크의 다른 연구 기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7] 주요 연구 분야 외에도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의 연구는 여러 학제 간 및 학과 간 연구 협회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연구 센터로 구성되어 있다.[8] 주요 연구 센터는 다음과 같다.

  • 신흥 나노측정학 및 분석 연구소 (LENA): 독일 연방 물리 기술 연구소와 함께 측정 가능한 한계를 연구하는 곳이다. 나노미터급 재료와 부품 측정에는 나노측정학의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며, LENA는 나노 표준물질, 측정 방법 개발, 유비쿼터스 센서 및 표준 등을 연구한다. 특히 3차원 나노 시스템의 계측에 중점을 두고 있다.

  • 브라운슈바이크 통합 시스템 생물학 센터 (BRICS): 헬름홀츠 감염 연구 센터와 협력하는 학제 간 센터이다. 시스템 생물학 방법을 사용하여 생명공학 및 감염 연구 분야의 미생물을 연구하며, 수학적 모델을 통해 새로운 항감염제와 새로운 생명공학적 생산 공정을 개발한다.

  • 니더작센 자동차 연구 센터 (NFF): 도시화 증가와 관련된 사회적 및 생태적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과학자들이 협력하는 곳이다.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외에도 독일 항공 우주 센터(DLR)와 라이프니츠 하노버 대학교도 참여하고 있다.

  • 니더작센 항공우주연구센터: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독일 항공 우주 센터(DLR), 하노버대학교 라이프니츠 캠퍼스가 항공우주 기술 분야의 기초적인 공동 연구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곳이다.

  • PVZ: 약학, 공정 공학 및 마이크로 기술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더욱 비용 효율적이고 환자 맞춤형 약물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제조 기술을 연구하는 곳이다.

  • BLB (배터리랩 브라운슈바이크): 리튬이온 배터리와 고체 전해질 배터리 및 리튬-황 배터리와 같은 미래 배터리 기술의 생산 공정 개발뿐만 아니라 진단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학제 간 연구 플랫폼이다.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클라우스탈 공과대학교, 하노버 라이프니츠 대학교의 13개 교수직과 PTB의 배터리 전문가들이 통합되어 니더작센 주의 배터리 분야 우수 R&D를 위한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필요한 역량을 통합한다.

6. 평가

2024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 따르면,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는 세계 751-760위, 독일 내 39위에 랭크되었다.[10] 2024년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세계 501-600위, 독일 내 42-45위에 위치했다.[11] 2023년 세계 대학 학술 순위에서는 세계 701-800위, 독일 내 41-42위이다.[12]

7. 정부 시험 및 인증

독일, 특히 내화피복 분야에서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TU Braunschweig)로 잘 알려진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의 iBMB 연구소는 독일 건축 기술 연구소(Deutsches Institut für Bautechnik)의 인증을 받았으며, 수십 년 동안 제조업체를 위해 제품 및 시스템의 내화 등급을 설정하기 위한 공공 시험을 수행해 왔다. iBMB는 또한 DIBt 승인을 유지하기 위해 DIBt의 제3자 공급업체 검사(제품 인증) 및 품질 관리 시험을 지원하며, 유레카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이 프로젝트는 교통 터널에 대한 방화 조치를 규정하는 건축법 및 규정에 대한 지침이 되었다.

8. 저명한 동문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의 주요 동문은 다음과 같다.

9. 한국 대학과의 협정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는 현재 한국 대학과 협정을 맺고 있지 않다. 다만, 일본 대학과는 협정을 맺고 있는데, 도쿄농공대학과 시즈오카대학이 이에 해당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U Braunschweig in Figures https://www.tu-braun[...] 2023-11-16
[2] 웹사이트 TU Braunschweig in Figures https://www.tu-braun[...] 2023-11-16
[3] 웹사이트 TU Braunschweig in Figures https://www.tu-braun[...] 2023-11-16
[4] 웹사이트 Die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in Zahlen 2018 https://web.archive.[...]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2019-03-05
[5] 웹사이트 TU Braunschweig in Figures https://www.tu-braun[...] 2023-11-16
[6] 문서 Named after its founder Charles I, Duke of Brunswick-Wolfenbüttel
[7] 웹사이트 Core Research Areas @ TU Braunschweig https://www.tu-braun[...] 2018-03-24
[8] 웹사이트 Research @ TU Braunschweig https://www.tu-braun[...] 2018-03-24
[9] 웹사이트 Departments @ TU Braunschweig https://www.tu-braun[...] 2017-09-13
[10]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opunive[...] 2023-07-16
[11]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imeshig[...] 2023-09-27
[12] 웹사이트 2023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2023-08-15
[13]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3 https://www.topunive[...] 2023-11-16
[14]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https://www.timeshig[...] 2023-11-16
[1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TU Braunschweig https://www.tu-braun[...]
[16] 문서 「Herzogliche」는 「브라운슈바이크 공이 창립한」의 의미로, 브라운슈바이크는 왕국이 아니고 공국이므로, 「왕립」은 정확하지 않다. 무리하게 직역하면 「공왕립」이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